선납이연, 그게 뭔데? 한번 알아보자
22년 4월 분양 과열기 막차에 제대로 물려버린 저는 고민이 참 많아요
이율 5.95%를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오지 않기 때문이에요
버는 돈은 정해져있고, 재태크에 재자도 모르고, 모은돈도 없어서 영끌인데
공부겸 처음 한 분양은 덜컥 되어버렸고...... 순식간에 곧 빚이 4억이 될 예정이랍니다.

그래서 적금이라도 시작해보자고 알아본건데 이게 왠 걸? 이자를 이자를 더 받는 방법이 있다해서 공부해보았어요
선납이연? 선납일수(+)와 이연일수(-)의 합이 "0"이 되도록 하는 적금 납부 방법입니다.
대표적인 방법으로는 1년 기준 6-1-5, 1-11방법이 있습니다.
1. 6-1-5 방식
선납이연에 대표적인 방식으로 12개월짜리 적금을 6개월, 1개월, 5개월 치를 선납, 이연하는 방식입니다.
예시, 1회차(6개월 선납) - 7회차(1개월 선납) - 12회차 (5개월치 이연)
2. 1-11 방식
마찬가지로 1개월, 11개월치를 선납, 이연하는 방식입니다.
예시, 1회차(1개월 정상납부) - 7회차(11개월치 선납)
그런데 왜 굳이 힘들게, 머리써가며 돈을 넣는거야? 결국 똑같은 돈 넣고 이자 받는데 말이야
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시겠지만 '기간'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해서 버는 방법이에요

만약, 1년에 10%짜리 적금을 굴린다고 생각해 보아요
정기적금만 한다면 기간으로 부터 납부한 금액이 10%의 이자를 만들겠지만,
1-11을 활용한다면 1회차에서 7회차까지 남는 6개월의 시간동안 다른 적금에 적금을 넣어
6개월 치에 대한 이자를 받고 그 후에 적금을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
10%의 이자외에 다른 금액에 대한 이자도 볼 수 있으니 10% + a의 이자가 생겨요.
예를들어, 1-11을 활용한다면, 표가 잘려 1~6회차까지만 보겠습니다. (7회차는 한꺼번에 납부해야 하니까 생략)
1 | 2 | 3 | 4 | 5 | 6 | |
선납이연 | 10% | 10%+a | 10%+a | 10%+a | 10%+a | 10%+a |
기존 | 10% | 10% | 10% | 10% | 10% | 10% |
선납이연으로 기존과 1회차는 동일하게 납부한 후, 2~6 즉 6개월간 a라는 이자를 주는 적금을 개설해
6개월간의 이자를 얻습니다.
그 후 7회차 선납금액 외에 6개월 만기된 통장의 금액을 넣습니다.
1-11은 보시는 바와같이 초기 자금이 없는 경우에는 이렇게 해야해요 ㅠㅠ..(저같은 경우)
6-1-5의 경우 초기 금액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.
이에 대해 네이버에 선납이연 계산기가 있는데 너무 잘맞고 저도 사용하는 방법이에요

이렇게 네이버에 선납이연 계산기를 검색하고 https://snowman-calc.netlify.app/
⛄스노맨 선납이연 날짜 계산기
3년짜리 적금도 무료로 날짜 계산 가능한 스노맨 선납이연 날짜 계산기
snowman-calc.netlify.app

저는 50만원씩 7%짜리를 가입중이니 방식에 따라 1-11을 누르고 계산을 하면

결과와 납입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그런데 피치못하게 납입일이 안맞거나 하다면 조정이 필요하겠죠?
그럴것을 대비해서 엑셀로 계산시트를 만들었답니다.

댓글로 이메일을 주시면 계산시트를 보내드릴게요 ^^
오늘도 내일도 재태크로 성공해 보자구요